정부 에너지정책에 대한 논란이 탈원전에서 탈석탄으로 번지고 있다. 신규 석탄화력발전소의 세계 최고 수준 환경설비를 고려하지 않고 LNG발전소로의 전환을 강요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이미 착공했거나 추진 중인 석탄화력발전소의 LNG(액화천연가스)발전소 전환을 유도하고 있다.
정부가 LNG 전환을 추진하는 석탄화력발전소는 모두 9기다. 이 가운데 △신서천 1호기 △고성하이 1ㆍ2호기 △강릉안인 1ㆍ2호기는 공사가 진행 중이고, △당진에코파워 1ㆍ2호기 △삼척포스파워 1ㆍ2호기는 착공 허가 절차를 밟고 있다. 이 가운데 한국중부발전 신서천 1호기를 제외한 나머지 8기는 민간발전사업이다.
문제는 최근 석탄발전이 기술 발전으로 과거와 달리 친환경성이 대폭 강화됐는데 정부가 이 점을 간과하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LNG발전으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지난 2014년 준공돼 가동 중인 한국남동발전의 인천 영흥화력발전소는 탈황설비를 통해 황산화물(SOx)의 98.9%를, 전기 집진장치로 미세먼지의 99.9%를 걸러내고 있다. 새로 들어설 예정인 민간 석탄발전소들은 영흥화력 이상의 친환경 설비가 갖춰질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USC(초초임계압) 기술을 통해 친환경 석탄화력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대기오염을 최소화하고 있는데도 석탄화력을 에너지믹스에서 제외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게다가 정부가 민간발전사에 LNG발전소 전환을 강제하면 막대한 사업비 손실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일부 기업은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사업 포기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착공한 민자 화력발전소는 법인 설립과 플랜트 설계, 환경영향평가 용역비용으로 이미 수천억원을 투입한 상태다. 이미 공정률이 30%에 가까운 곳도 있다. 신규로 들어서는 석탄발전 9곳에 들어간 금액은 총 2조8600억원에 달한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현재 지어지는 석탄발전소 위치에 LNG발전소를 지을 경우 경제성이 급격하게 떨어져 발전소를 건설해도 적자가 불가피하다”면서 “매몰비용을 감수하더라도 사업을 접는 편이 낫다”고 말했다.
김부미기자 boomi@